에너지환경공학과의 특징은 공학적 기초이론 및 지식을 바탕으로 수질, 폐기물, 대기 등의 제반 에너지 환경문제를 다루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생명과 자연을 사랑하는 긍정적 세계관을 갖추고 합리적 사고와 올바른 가치관을 지니고, 친환경적인 기술을 통하여 제반 에너지 환경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쾌적하고 건강한 지구와 인간의 미래를 개척할 줄 아는 전문 에너지 환경기술인의 양성을 목표로 하는 본교의 에너지환경공학을 전공한 졸업생들은 진로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서 다음과 같은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
에너지환경 관련 공무원, 연구직 공무원, 시도환경공무원
- 환경부 환경직 ( 기술고시 -5급, 기술직-6,7급 )
- 서울시 환경직 ( 기술고시 -5급, 기술직-6~9급 )
- 지방자치단체 ( 지방 기술고시 - 지방5급, 기술직 6~9급)
- 에너지환경 분야 연구직 공무원 (국립환경과학원, 에너지경제연구원, 지방환경청, 미세먼지 정보센터, 화학물질안전원 등)
국책연구원, 공기업, 시도시정개발연구원
- 국책연구원: 한국환경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극지연구소,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기후변화행동연구소 등
- 공기업: 환경공단,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수자원공사,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한국전력공사, 석유공사, 석탄공사, 지역난방공사, 한국공항공사, 인천공항공사, 발전사(남동발전, 중부발전, 서부발전, 남부발전, 동서발전, 한국수력원자력)
- 시도 연구원: 시도보건환경연구원, 서울연구원, 서울기술연구원, 경기연구원, 인천연구원, 부산연구원 등
에너지환경 관련 기업체
- 환경 플랜트 설계 및 시공 담당 엔지니어링 기업: 현대건설, GS 건설, 포스코건설, 코오롱 건설, 삼성엔지니어링, 도화엔지니어링, 한국종합기술, 태영, 대우건설기술연구소, 삼안건설공사, 선진엔지니어링, 유신, KC코트렐 등
- 에너지관련기업: LG에너지솔루션, 두산퓨엘셀, 한화큐셀, GS칼텍스, S-oil, SK이노베이션, 현대자동차, 삼성SDI, 포스코파워 등
- 에너지 및 환경 관련 기업 부설 연구소: 삼성환경안전연구소, LG환경안전연구원,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등
- 환경 안전 관련 직군: 대기업 및 중견기업 환경안전 관리 직군 (정유사, 제철소, 시멘트, 전자회사, 신재생에너지, 자원재활용, 수질관리 등)
- 에너지 및 환경 컨설팅 기업: 에너지 환경 정책, 탄소배출권, 지구온난화 관련 온실가스 배출, 환경오염물질 총량관리, 국제 협력 등
- 환경영향평가 기업: 환경영향평가, 사후환경영향평가, 전략환경영향평가, 소규모환경영향평가, (수자원, 철도, 공자, 산업, 도로, 택지 조성 등 관련)
- 환경방지설비 및 장치 제조 업체: KC코트렐, 한국리트코 등
- 자가측정 대행 기업: 대기, 수질, 토양, 폐기물, 악취 등
진학
- 국내외 에너지환경 관련 대학원 석, 박사과정 진학 후 고급연구인력으로 관련 분야 진출
기타
- 환경 전문 매스미디어
- 측정 및 분석 전문 대행사
- 측정, 방지 시설 기계 제작사
- 수질 관련시설 유지·관리 운영회사
- 전국의 자원재활용시설 유지·관리 운영회사
- 국제환경협력(UNDP, UNEP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