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환경공학과

 

교수진

교수소개

안내사항

  • 교수진 정렬 기준 : 학과장, 직위, 입사일, 이름 순서임.
게시글 검색
전체
  • 이강훈 부교수

    Lee Kang Hoon

    학과장
    • 소속학과

      에너지환경공학과

    • 연구실

      다솔관 D713

    • 연구분야

      환경공학

    • 연구키워드

      수처리(미량오염물질/HRAS) 폐기물 자원화 자산관리 시스템

    수질환경연구실에서는 AOP(Advanced Oxidation Process) 및 HRAS(High Rate Activated Sludge)와 같은 고도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수계 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더불어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재활용하여 경량골재를 생산하는 폐기물 자원화 연구, 공공 인프라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리스크를 예측하고 통제하기 위한 체계적인 자산관리(Asset management) 시스템 연구를 진행 중이다.
    Research on the treatment of pollutants in water systems using advanced techniques such as AOP (Advanced Oxidation Process) and HRAS (High Rate Activated Sludge) is being conducted. In terms of carbon neutrality, efforts include recycling wastewater sludge to produce lightweight aggregates, systematic asset management to predict and control risks in public infrastructure. 
  • 위정호 교수

    Jung-Ho Wee

    • 소속학과

      에너지환경공학과

    • 연구실

      다솔관 D614

    • 연구분야

      에너지환경공학

    • 연구키워드

      신재생에너지 및 온실가스 배출 저감

    이산화탄소를 포집 및 저장/이용하는 CCUS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Storage) 기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연료전지 (Fuel cell)와 태양전지 (Solar cell) 및 수소에너지 (Hydrogen energy)를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를 연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약 60여 편의 SCIE급 국제 논문을 발표하였고 10여편의 특허를 등록하였다. 또한, 2017년부터 현재까지 SCOPUS data base가 주관하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상위 2% 과학자에 등재되어 있고 한국환경공단 등 국가 에너지/환경관련 기관에 기술자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Prof. Wee has conducted research on CCUS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Storage) technology and renewable energy, including fuel cells, solar cells, and hydrogen energy for 25 years. He has published about 60 SCIE-level international papers and registered about ten patents on these research fields. In addition, he is listed in the Top 2% of most cited scientists worldwide selected by SCOPUS data base, 2017~2023 (Stanford University ranking) and also serves as a technical advisor to national energy and environment-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 윤종상 조교수

    JongsangYoun

    • 소속학과

      에너지환경공학과

    • 연구실

      다솔관 D430

    • 연구분야

      환경공학

    • 연구키워드

      대기환경 (미세먼지 측정 분석; 에어로졸; 실내공기질; 대기오염 방지시설)

    윤종상 교수는 대기오염물질을 측정, 분석하여 거동을 파악하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대기오염방지, 대기환경정책, 대기오염모델, 실내공기질 등 대기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로 연구 분야를 확장 하고 있다. 
    Prof.Youn's research focuses on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the environment, climate, and public health/welfare. Additionally, he is expanding research into various fields related to the atmospheric environment, such as air pollution prevention, air quality policies, air pollution modeling, and indoor air quality. A suite of synergistic methods are used for this research, including laboratory experiments, ground measurements, modeling, and remote sensing observations. 
  • 이강민 조교수

    KangminLee

    • 소속학과

      에너지환경공학과

    • 연구분야

      에너지반도체공학

    • 연구키워드

      태양광 에너지 소재 및 소자 광소자 차세대 반도체 소재 및 소자

    이강민(KangminLee) 프로필 이미지
    UNIST에서 투명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Transparent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UNIST 연구조교수를 거쳐 MI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박사후연구원 (Postdoctoral Associate)으로 차세대 태양광 에너지 소재 및 소자를 연구하였다. 현재 LEE(Leading-edge Energy materials and Electronics) Group에서는 첨단 반도체 기술을 기반으로 차세대 태양전지(예: 유리형 투명 태양전지, 초경량 유연 태양전지) 개발과 태양광 에너지 변환 효율의 이론적 한계 극복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아울러 Solar-to-Chemical Conversion, 광소자 및 차세대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와 소자, 반도체 공정 등 다양한 태양광 기반 에너지 소재·소자 및 반도체 분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다.
    He received his Ph.D. from UNIST for his research on transparent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After serving as a Research Assistant Professor at UNIST, he joined MI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s a Postdoctoral Associate, where he focused on next-generation photovoltaic materials and devices.
    Currently, as the Principal Investigator of the LEE (Leading-edge Energy materials and Electronics) Group, he is leading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solar cells (e.g., glass-like transparent solar cells, ultralight flexible solar cells) and on overcoming the theoretical limits of photovoltaic power conversion efficiency. In addition, his research is expanding into various fields, including solar-to-chemical conversion, optoelectronic devices,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and display materials and devices, and advanced semiconductor processing technologies.
  • 김유진 겸임교수

    YoujinKim

    • 소속학과

      에너지환경공학과

    김유진(YoujinKim) 프로필 이미지
  • 김석철 겸임교수

    Seok Cheol Kim

    • 소속학과

      에너지환경공학과

    김석철(Seok Cheol Kim) 프로필 이미지